정약용의 목민심서에는「율기육조」(律己六條)라 해 벼슬아치가 지니거나 버려야 할 여섯 가지 몸가짐을 제시한다.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는 ‘율기육조'(律己六條)라 해 벼슬아치가 지니거나 버려야 할 여섯 가지 몸가짐을 제시한다. 다산은 책에서 목민관은 올바른 몸(飭躬·칙궁)과 청렴한 마음(淸心·청심)을 가져야 하고, 집무할 때 사사로운 손님을 가려야 한다(屛客·병객)는 등의 가르침을 적었다.
집무실에 출입하는 이를 잘 선별해야 하고, 밤중에 받은 뇌물은 아침이면 금방 탄로나게 마련이어서 아니함만 못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사치스러운 치장은 백성이 싫어하고 귀신도 새암하거니, 자신의 복을터는 격이라고 일렀다.
특히 선비문화에서는 스스로의 언행을 자신은 물론 가문의 명예를 지키는 근본으로 삼아 왔다. 지난 6·1지방선거에서 당선자들은 ‘선거구 주민들에게 심부름(머슴) 꾼이 되겠다”,며, 후보 때 거리곳곳을 누비며, 도로복판에서 오가는 사람들을 향해 수없이 머리를 숙이며, 읍소(泣訴)는 물론 악수세례를 퍼붓는 등 일등 선량(選良·elite)을 공언했는데 7월부터 제자리로 찾아가면 찬찬히 되돌아 보아야 한다.
선거에서 승리해 당선증을 받는 순간부터 유권자들과의 약속은 철저히 지켜야 하며, 이를 외면 하거나 주민위에 군림하려는 행태를 보이는 것은, 의무와 책임, 권한 행사에만 눈독 들이는 등 오만(傲慢)으로 비춰질 때 시민들은 다음에는 표를 줄리 없다는 걸 알아야 한다,
물론 ‘초선’, 의원이라고 해서 감투를 못가지라는 법은 없다. 지난 민선8대 때 모 의원(초선)2명은 어부지리(漁夫之利)위원장 감투를 꿰차고 업무추진비 86만원씩을 2~4년간 받아 챙기면서 의안(議案) 때는 벙어리 거수기(擧手機)로 한 것을 시민들은 잘 알고 있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쓴소리를 좋아할 사람은 드물다. 독하고 모진 쓴소리라면 더 그럴 것이다. 옛날 임금 앞에서 간언(諫言)을 하려면 죽음을 각오해야 했다. 중국의 당 태종 이세민의 정관지치(貞觀之治·태평치세를 이르는 말)가 지금도 회자(膾炙)되고 있다.
옛날부터 군자(君子)는 말을 아끼고, 조심하며, 스스로의 인격에 누가되질 않도록 자기관리를 업격히 해 왔다. 선출직은 공사(公·私)를 불문하고, 늘 청렴해야 하며, 시민들로부터 신뢰 받는 선량이 되도록 주위에서 관심을 갖고 올바른 길로 이끌어 주는 멘토 역활이 필요할 때다.
검소한 생활로 법과 원칙에 따라 소신 있는 의사 표현을 하고, 어려운 시민들을 먼저 배려 하는 것은 물론, 친절도 늘 상 베풀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 다함께 더불어 사는 문화가 조성되며 오는7, 1일 박동식 사천시장 당선자 취식임 때 사천시민을 위한 시민섬김 열린시정, 탄 탄 한 지역경제, 매력있는 해양관광, 꿈을여는 명품교육 등 시정방침을 새로 설정(設定)해 나갈 것으로 시민들은 한 껏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