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사회과학회 사회학자들, 독일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사회학 서적 개정판 발간
-〔사진〕 사회학 이론: 시대와 관점으로 본 근현대 이야기/독일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사회학 서적의 개정판!/마르크스와 베버부터 하버마스와 푸코까지/근현대 13명의 사회학 이론가 분석 –
[경상뉴스=김관수 기자]한독사회과학회(회장 김주희)의 사회학자들이 사회학의 본고장 독일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사회학 이론:시대와 관점으로 본 근현대 이야기』 개정판을 발간했다. 이 책은 독일에서 2007년 초판이 출간된 이후 2013년 제2판이 출간되었고, 2020년 제3판이 다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제3판을 번역한 개정판으로 ‘한울’에서 발간했다.
이 책에서는 마르크스와 베버부터 하버마스와 푸코까지 근현대 13명의 사회학 이론가를 중심으로 사회학 이론의 탄생과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했다. 이 책을 읽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이다.
초기 근대, 발전된 근대, 후기 근대의 연대기 순서로 읽으면 근대사회의 발전과 사회학 이론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근대사회와 사회학 이론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려면 관점별로, 즉 길들이기, 합리화, 분화, 개인화로 묶어서 읽을 것을 권한다.
포괄적이면서도 분석적으로 구성된 이 책의 읽기 방식은 지금 우리에게 왜 사회학 이론이 필요한지를 끊임없이 고민해 온 지은이들의 결과물이다. 그들의 의도대로 이 책을 읽고 나면 사회학 이론이 범접할 수 없는 대가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본질과 병리를 앞서 고민한 이들의 흔적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혼돈의 시대를 살아간 13명의 이론가를 ‘시대’와 ‘관점’에 따라 독특한 방식으로 구성한 책 근대의 풍경을 그리기 위한 3가지 시대 구분: 초기 근대, 발전된 근대, 후기 근대 근대의 본질을 재구성하기 위한 4가지 관점: 길들이기, 합리화, 분화, 개인화 정통 사회학 이론을 만나는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입문서
지은이 소개
하르트무트 로자(Hartmut Rosa)_ 독일 예나 대학교 일반사회학 및 이론사회학 교수
다비드 슈트렉커(David Strecker) _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교 사회결속연구소 연구원
안드레아 콧트만(Andrea Kottmann) _ 네덜란드 트웬테 대학교 고등교육 정책연구 센터(Center for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CHEPS) 여성 연구원
옮긴이 소개
최영돈_독일 본 대학교에서 번역학·사회학 학사 및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등 외래교수, 한국사회학회 이사로 활동했으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방송토론팀장을 지냈다. 현재는 한국독일네크워크(ADeko) 이사를 역임하고 있으며, 민주시민교육 분야 프리랜서 강사 및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이종희 _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석사·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사회학과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방송토론팀장, 한국사회학회 이사, 한국소통학회 부회장, 한독사회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교수, 한국독일네크워크(ADeko) 부이사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전태국 _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에머리 대학교,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사회학회 회장, 한독사회학회 회장,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