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정치/사회/경제정치「송도근 전 민선7기 사천시장」, 내년 사천시장 출마 공식선언

「송도근 전 민선7기 사천시장」, 내년 사천시장 출마 공식선언

▲송도근 전 사천시장, 기자회견 하는 모습
-“사천의 미래 비전/”40년 행정 경험 살려 중장기 비전 현실로 만들 것/믿음·신뢰로 시민통합 등-

[경상뉴스=이경용 기자)] 민선7기 사천시정을 이끌었던 송도근 전 사천시장이 내년 사천시장 출마를 공식화했다.

송 전 시장은 6일 오전 10시 사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천의 미래 방향과 도시 비전에 대해 시민 여러분과 함께 논의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내년 사천시장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그러면특히 “지난 광복절 특별사면 복권은 다시 시민 곁으로 돌아와 사천의 미래를 위해 고민할 기회를 주셨다고 생각한다”며 “개인의 잘못으로 시민과 사천시 발전에 장애를 초래한 데 대해 사죄의 말씀을 전하며 남은 열정과 경험을 쏟겠다”고 했다.

또한 “사천은 우주항공청 개청이라는 역사적 계기를 맞아 새로운 도약의 길목에 섰다”며 “우리가 이 기회를 어떻게 준비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10년, 100년이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 전 시장은 “사천은 산업·교육·문화·복지가 함께 발전하는 조화로운 도시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우주항공산업뿐 아니라 지역경제·관광·생활 인프라가 함께 성장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와 함께 ‘우주항공청과 지역산업의 연계 강화에 따른 산·학·연·관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구축, 균형발전 및 생활 인프라 확충을 통한 동 지역과 읍·면 지역이 함께 발전하는 조화로운 도시 구조 마련, 청년·중소기업 지원 확대를 통한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창업·기술 혁신 지원, 시민 참여형 행정체계 구축을 통한 열린 행정 실현’ 등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사천은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의 중심지로 KAI를 비롯한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이 집적된 유일한 산업 거점”이라며 “우주항공청 개청을 지역발전의 기회로 연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산업·인재·도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우주항공복합도시 모델을 함께 설계해야 한다”며 “그간 쌓아온 중앙정부, 산업계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사천이 국가정책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연구하겠다”고 했다.

또한 “사천이 진정한 성장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 시민과의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며 ‘시민 누구나 시정에 참여하고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공직사회 기강 확립 및 청렴 문화 조성, 지역 간 균형·형평이 보장되는 행정 절차 정비’ 등을 강조했다.

아울러 “사천 발전 전략을 시민과 함께 논의할 것을 약속한다”며 “사천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지역의 자긍심을 되살리는 일에 시민들의 지혜와 참여를 바란다”고 했다.

한편, 이날 송 전 시장은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및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 신설 주장에 대해 “우주항공청은 사천에 본청이 설치돼 있고 이는 ‘경남 사천에 우주항공 동북아 허브를 만들겠다’는 대통령 대선 공약에도 배치된다”고 했다.

이어 “사천은 이미 KAI, 항공국가산단, MRO단지 등 항공우주 인프라를 갖춘 대한민국 항공우주의 심장으로 우주항공청의 모든 기능은 사천에 일원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쓰레기 소각장 광역화 등 진주시와의 협력·소통이 부족하다는 데 대해서는 “사천이 당하는 모습처럼 보여 안타깝다”며 “두 도시가 어떻게 상생할 수 있을지 충분히 논의하고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분야로 합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당 소속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무소속으로 정해진 바가 없고 연내 소속 정당을 결정해 알리겠다”며 “시장 당선은 목적이 아닌 사천의 전환점을 만들기 위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당선이 수단인 사람’과 ‘당선이 목적인 사람’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전자는 시장에 당선된 뒤 시민과 지역을 위한 일에 전념하는 반면, 후자는 이미 목적을 달성했다고 생각해 공약 실천보다 정치적 행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지방행정 학자들의 공통된 견해”라고 설명했다.

진주시와의 행정통합 논란에 대해서는 “사천에는 진주가 가질 수 없는 공항과 바다·항구, 개발 가능한 토지가 있다”며 “이를 진주시의 이익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 진주·사천 통합의 논리”라고 일축했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