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정치/사회/경제경제KAI,「서울 ADEX 2025」참가, AI, 증강현실 등 최신기술 융합한 항공우주산업의 미래제시

KAI,「서울 ADEX 2025」참가, AI, 증강현실 등 최신기술 융합한 항공우주산업의 미래제시

▲KAI, ADEX KF-21 비행 장면.

– 육·해·공·우주를 연결하는 차세대공중전투체계 소개/AI 파일럿 탑재된 훈련시뮬레이터와 가상현실 정비 체험까지/수출 국가 및 잠재국 관계자 초청행사 등 적극적 마케팅 활동 병행-

[경상뉴스=김용수 대기자]KAI가 서울공항(10.17~19)과 KINTEX(10.20~24)에서 개최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25(이하 ADEX)’에 참여한다.

서울공항 전시에서는 KAI 항공기를 비롯한 다양한 항공기의 비행 및 실물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한국형 전투기 KF-21의 비행과 함께 KT-1, T-50, LAH의 시범기동이 계획되어 있으며, T-50B로 운영되는 블랙이글스의 곡예비행도 3일 내내 예정되어 있다.

KAI는 KINTEX 전시현장을 미래 전장 환경으로 구성하여, 육,해,공 각 군 특성에 맞춘 차세대공중전투체계 개념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AI 파일럿이 탑재된 시뮬레이터와 AAP 무인기 등 신기술 또한 새롭게 공개된다.

올해 ADEX의 KAI 전시장은 고정익, 회전익, 우주 등 다양한 zone 으로 구성되어 방문객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통하여, 각 전력이 통합적으로 운용되는 대한민국 미래 공중전장을 상상하게 한다.

고정익 Zone에는 전 국민의 관심을 받는 KF-21의 비행 및 무장 기동이 LED 배경과 상호 호완되어 상영되는 특별한 전시물이 설치되었다. 또한 KAI가 자체개발 중인 다목적무인기 AAP(Adaptable Aerial Platform) 실물기가 최초로 공개된다. AAP는 자폭, 기만, 무인표적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공중전력 운용에 큰 효율성과 다양성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전익 Zone에는 LAH 실물기가 전시되어 육군항공의 새로운 전력을 국민들이 조금 더 가까운 거리에서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 구성되었다. 또한 비행 중인 헬기로부터 사출되어 정찰, 기만, 자폭 등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무인기인 ALE(Air Launched Effects)가 LAH와 함께 전시된다. KAI가 그려나가는 헬기 유무인복합체계(Heliborne MUM-T)는 2030년 실제 운용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M&S Zone에서는 AI가 탑재된 파일럿과 직접 도그파이트를 겨뤄볼 수 있는 ACP시뮬레이터를 체험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교전 경험을 학습하고 있는 ACP(AI Combat Pilot)는 KAI가 개발중인 AI 파일럿 기술의 고도화에 활용된다.

항공기 운용주기 전반에 걸친 후속군수지원 및 정비지원체계를 경험할 수 있는 IPS Zone은 AI 기반 몰입형 라이브 체험관으로 기획되었다.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과 가상현실을 융합한 공간으로, 기존 VR기기를 통한 교육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정비지원체계를 직접 체험 가능하다.

KAI, 블랙이글.

우주 Zone에는 New space 시대에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초소형 위성을 포함하여, KAI가 제작한 차세대 중형위성, 광학 위성 등의 다양한 위성들의 모형이 함께 전시되어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는 KAI의 우주 산업분야에 대한 실질적인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KAI는 이번 행사와 연계하여 국산 항공기 수출 확대를 위한 적극적 마케팅 활동도 함께 진행한다.

FA-50 초도납품 20주년을 맞이하여, KAI 항공기를 도입·운영 중인 태국, 폴란드, 말레이시아 등 고객국가 및 수출 잠재 고객국 등 총 30여개 국가 관계자 및 국내 유관기관을 초청한 ‘Eagles Night(이글스나잇)’행사를 19일(일) 주관한다.

참석자들은 KAI 항공기 운영 사례 발표와 조종사들의 인터뷰를 공유하는 시간을 통하여 대한민국 항공기에 대한 신뢰를 나누며, KAI와 K-방산의 미래비전을 공유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출에 대한 가능성도 논의된다.

손석락 공군참모총장을 비롯해 육군·해군, 방사청 관계자도 함께 참석해 국산 무기체계 방산수출을 위한 One Team(원팀)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