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경남종합『언론 홍보비 물가상승 감안 않고 30년 전과 똑같아 상향 조정해야...』

『언론 홍보비 물가상승 감안 않고 30년 전과 똑같아 상향 조정해야…』

▲언론 홍보비 물가상승 감안해 상향 조정해야…

[경상뉴스=이경용 기자]언론 홍보비를 100만 원에 의뢰받았을 경우 정부광고 통합지원센터에 수수료 10만과 세무당국에 부가가치세 10만 원을 공제하고 하면 나머지 잔액 80만 원이다 이를 기자 봉급과 사무실운영비 등으로 지출된다.

장장 40년 전의 언론홍보비가 단 한푼도 인상하지 않고 그대로다. 현재 우리 사회는 그때와는 비교할 수없이 성숙해졌다. 그런데 지자체 등에서 언론홍보비가 35~40년 전 100만 원의 홍보료가 상금에도 100만 원으로 책정돼 기자들의 불만이 높아가고 있다.

게다가 언론환경이 열악한 한데 대해 모 기자는 “소도시에 언론사는 많고 처우도 좋지 않아 배고픈 기자들이 많다”며 “80년대 후반 100만 원이던 홍보비가 40년이 지난 지금도 100만 원이다, 이중 한국언론재단에서 10만 원 수수료로 공제하고, 국세청 세금 10만 원 떼면 남는 게 고작 80여만 원이다.”고 어려운 언론 환경을 하소연한다.

특히 지역 일간지가 많은 것과 신문기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보면 언론사가 넘쳐나는 환경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지만 “방송에 비해 지역 신문 기자의 처우는 너무나 열악하다”며 “유력 일간지 기자들마저 최저임금 수준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H 모기자는 ”광고·협찬비를 줄만한 기업도 손을 놓고 있는 데다 지역 신문사가 난립하다 보니 다들 지차체 홍보예산에 의존하고 있다”며 “지자체가 홍보비를 끊는 순간 각 언론사의 생명은 끝난다고 보면 된다. 혁신과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지역 언론학계에서도 우려를 표했다. 언론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생산적인 경쟁보다 지역 언론의 하향평준화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언론계의 시장 기능은 사실상 마비된 가운데 함량 미달 언론사, 자격 없는 기자도 지자체 홍보비로 버티는 상황”이라며 “지역민의 혈세가 사이비 언론사로 흐른다. 언론 환경과 지자체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