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명 승진자들
-헌재 진공상태’ 등 성과 냈지만 ‘尹정부 인사 꼬리표’ 못 떼- - [경상뉴스=김용수 대기자]이재명 정부가 12일 단행한 경찰 고위직 2번째 승진 내정 인사로 경찰청장(치안총감) 바로 밑 직급인 치안정감 7자리가 모두 물갈이됐다.
지난 6월 임명된 유재성 경찰청 차장과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에 이어 이날 추가로 5명이 승진 대상에 오르면서다.
발탁된 5명 중 호남 출신은 한창훈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무안), 박정보 경찰인재개발원장(진도) 등 2명이다.
또 김성희 경남경찰청장(청도), 황창선 대전경찰청장(화성), 엄성규 강원경찰청장(제주) 등 영남·수도권·제주 출신이 각 1명씩 명단에 올랐다.
앞선 2명의 승진자(유재성·부여, 박성주·보성)까지 합하면 치안정감 7자리 중 호남이 3자리, 나머지 지역은 1자리씩 분배됐다.
입직 경로별로는 보면 경찰대 출신이 4명(유재성·박성주·황창선·김성희), 간부후보 출신이 3명(박정보·한창훈·엄성규)으로 구성됐다.
경찰 관계자는 “지역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정치색이 적은 무난한 인사들을 선별한 인사”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번 인사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오히려 명단에 들지 못한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다.
지난 2월 탄핵정국 속에서 치안정감으로 승진 내정됐지만, 7개월 만에 이름이 삭제되며 치안감으로 다시 ‘강등’됐기 때문이다.
경찰에서 승진 내정이 취소되는 것은 전례를 찾기 힘든 일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직무대리는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동안 헌법재판소 인근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유혈 사태를 막는 등 성공적 경비 작전을 이끈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에서 근무하고 초고속 승진한 점,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을 역임하며 계엄 연루 의혹이 제기된 점 등이 인사에 반영됐다는 평가다.
이르면 주말께 윤곽이 나올 보직 발령에서 자신이 사실상 대표했던 서울청장의 참모 등 치안감 자리로 배치되는 ‘수모’를 겪을 가능성도 있다.
박 직무대리는 현재 특검 수사 등의 참고인이지만, 시민단체의 경찰 고발로 피고발인 신분이라 자진 사퇴가 불가능한 상황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