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경남종합『보수정권을 망친 인물』…「김종혁,」퇴임 권성동 작심 비판

『보수정권을 망친 인물』…「김종혁,」퇴임 권성동 작심 비판

▲친한계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왼쪽)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시사저널
-尹책임론 두고 ‘쓴소리 했었다’는 권성동에 정면 반박/“계엄·공천 갈등 때 침묵…무슨 중심 잡았다는 건가”/“떠나는 자가 후회도 없다니…국민이 후회해야 하나”-

[경상뉴스=김용수 대기자]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2일 퇴임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정부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며 당내 성찰과 통합을 강조한 가운데,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같은 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보수정권을 망친 쌍권(雙權) 중 하나로 기억될 것”이라며 권 원내대표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김 전 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권성동의 오늘 기자회견은 궤변과 왜곡의 극치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상식적인 국민들은 그가 왜 ‘권성동’인지를 다시 한 번 확인했을 것”이라며 “그는 어쩌면 자신이 무슨 헛소리를 하든 다들 찍소리 못할 것으로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다. 꿈 깨시기 바란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권 원내대표가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아부한 적 없고, 특혜를 받은 적도 없으며, 오히려 쓴소리를 했다’고 언급한 데 대해선 “진짜 웃긴다. 그래서 이준석 쫓아내고 윤석열에게 ‘체리따봉’ 받았나”라고 반박했다.

이어 “의총서 물병 던지며 한동훈 몰아낼 때 원내대표 역시 권성동 아니었나. 윤석열·김건희가 친윤들을 동원해 당을 사당화하고 망가뜨릴 때, 명태균과 문자 주고받으며 공천을 좌지우지할 때, 의정 갈등 때, 총선 망했을 때, 계엄사태 때, 서부지법 난동 때, 그 밖의 수많은 일들이 벌어졌을 때, 당의 권력자 권성동은 도대체 무슨 쓴소리를 했다는 건가”라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가 “당의 중심을 잡았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김 전 위원은 “당의 중심을 잡아서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함께 윤석열 면회를 간 건가”라며 “당 중진들이 계엄령이 아니라 계몽령이라며 헛소리를 하고, 헌법재판소에서 4대4나 5대3으로 부결된다면서 시위대를 선전선동할 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법사위원장으로 재판을 치러본 권성동은 그렇게 될 수 없다고 입 한번 뻥긋한 적 있나”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의 중심을 그리 잘 잡아서 이재명 같은 흠결투성이 후보에게 권력을 고스란히 넘겨줬나”라고 꼬집었다.

김 전 위원은 “남부지법도 김문수 후보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지 않았냐”는 권 원내대표의 언급을 두고는 “웃기지 좀 마시라. 당내 쿠데타는 10일 새벽 3시였고 남부지법 가처분은 9일이었다”고 정정했다. 당 지도부의 대선 후보 교체 시도는 분명 불법·부당했다는 주장이다.

김 전 위원은 “한덕수를 옹립하려는 구체적 행위가 이뤄지지도 않았는데 미리 못하게 해달라는 김문수 후보의 요구는 기각되는 게 상식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런 법원 결정이 해방 이후 최초인 대선 후보 교체 쿠데타를 정당화시켜주는가”라고 반문한 뒤 “만일 쿠데타가 성공해 한덕수가 후보가 됐다 해도, 누구든 새벽 3시의 대선 후보 공고 및 접수는 부당하다고 소송을 내면 법원은 당연히 인용했을 것이라는 게 상식 아닌가”라고 했다.

이어 “한덕수 전 총리는 지금 내란 관련 수사를 받고 있다. 대통령실 CCTV 기록이 한 전 총리의 그간 진술과 다르기 때문”이라며 “만일 한(전 총리)이 후보가 되고 선거 도중 이런 사실이 밝혀졌으면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졌을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권성동 원내대표가 국민과 당원들에게 사죄하고 용서를 구하며 물러났다면 떠나는 사람에게 이렇게까지 시시비비를 따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하지만 본인은 잘못한 게 없고 후회도 없다니, 그럼 당한 국민과 당원들이 잘못했고 후회해야 한다는 것인가. 권력을 잡은 세월이 길어질수록 세상이 우습게 보이나 보다”라고 비판했다.

앞서 이날 권 원내대표는 퇴임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친윤 복심이었단 평가에 대해 “대선 시기부터 윤석열 정권 출범 이후까지 윤 전 대통령에게 여러 차례 쓴소리를 한 바 있다”며 “대통령에게 아부한 적도 없고 특혜를 받은 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또 그는 “재임 기간 내내 민주당과 강하게 맞서 싸우면서도 국민의힘 내부로부터 부당한 비난을 받았다”며 “그러나 하나하나 대응하지는 않았다. 당내 갈등이 부각될수록 선거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평소 정치적 이견이 있다 하더라도 선거라는 대회전 앞에서는 단일대오를 만들어야 했다”며 “이것이 당을 함께하는 동지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