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헤드라인『K-공무원들 좋겠네』…일하면서 명문대 학점 「착착」 쌓는다

『K-공무원들 좋겠네』…일하면서 명문대 학점 「착착」 쌓는다

▲김승호 인사혁신처장. <연합뉴스>
-인사혁신처 ‘직무경력 학점인정제’ 시행/위탁교육 대학서 졸업학점 최대 4분 1 인정/“업무·학습 병행 여건 조성…전문인재 양성”-

[경상뉴스=민태식 기자]국가공무원의 직무 경력이 대학·대학원 학점으로 인정된다. 인사혁신처는 “직무 전문성을 갖춘 국가공무원 양성과 일·학습 병행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직무경력 학점인정제’를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직무경력 학점인정제는 국내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학·석사 과정을 위탁교육 중인 국가공무원의 직무경력을 학칙이 정하는 심의 절차를 거쳐 관련 전공 학점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다. 대학 학칙에 따라 졸업학점의 최대 4분의 1까지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인사혁신처는 “일과 학습 병행이 가능하고 교육기간 단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인사혁신처는 지난 해부터 국가공무원 위탁교육생이 있는 주요 대학·대학원과 관련 협의를 추진해왔다. 이와 함께 전국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한국사립대학 총장협의회 등을 통해 제도 취지를 공유해왔다.

이에 한양대와 한양사이버대가 학칙 개정을 지난 해 완료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직무경력 학점인정제’를 시행한다. 한양대는 공공정책대학원과 공학대학원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한양사이버대는 학사과정을 대상으로 학점을 인정할 예정이다.

인사혁신처는 “고려대 행정전문대학원,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등에서도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어 향후 적용되는 대학이나 대학원이 보다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도 확대가 이뤄지면 학습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교육 기간 단축에 따른 교육비 지원 예산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김승호 인사처장은 “수준 높은 행정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역량있는 공무원들을 양성하는 것이 필수”라며 “공무원들이 일하면서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발굴·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