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헤드라인북한, 현정은 「금강산 방북」계획에 『검토해 볼 의향도 없어』 거절

북한, 현정은 「금강산 방북」계획에 『검토해 볼 의향도 없어』 거절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2023.6.2/뉴스1
-방북 추진 보도 하루 만에 담화로 단호한 입장 밝혀-

[경상뉴스=민태식 기자]북한은 1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정몽헌 전 회장의 20주기를 맞아 방북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입국을 허가할 수 없다”라는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김성일 외무성 국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남조선의 그 어떤 인사의 방문 의향에 대해 통보받은 바 없고 알지도 못하며 또한 검토해 볼 의향도 없음을 명백히 밝힌다”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이어 “남조선의 그 어떤 인사의 입국도 허가할 수 없다는 것은 공화국 정부의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현 회장은 정몽헌 전 회장의 20주기를 맞아 금강산에서 추모행사를 열기 위해 가족과 함께 방북을 추진했다. 현 회장의 방북을 위한 실무를 담당하는 현대아산은 지난달 27일 통일부에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을 낸 상태다.

현 회장이 방북하려면 정부의 ‘접촉 승인’이 난 뒤 북측과 원활하게 소통이 돼 북측으로부터 ‘초청장’을 받아야 실질적인 방북 절차가 진행되게 된다. 북한은 이같은 과정이 진행되기 전부터 방북 거부 의사를 명백히 밝힌 것으로 보인다.

특히 김 국장은 또 “금강산관광지구는 공화국 영토의 일부분이며 따라서 우리 국가에 입국하는 문제에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는 아무러한 권한도 행사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는 그간 현 회장의 방북과 관련한 소통 창구이자 이번 접촉 신청 대상이기도 한 아태의 권한이 무력화됐음을 시사한 것으로, 북한이 금강산 사업을 과거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전환했을 가능성이 엿보인다.

김 국장은 “이러한 원칙과 방침은 불변하며 앞으로도 유지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있어 현 회장의 방북에 미온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또 북한이 지난해부터 금강산 관광지구 내 남측 시설을 무단으로 철거하고 있어 금강산에서 남측의 행사가 열리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도 거론돼 왔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