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경남종합경남 거제에 「日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 추진

경남 거제에 「日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 추진

▲경남 거제에 日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 추진

-노동자·시민단체…추진위 결성/건립기금 마련 모금 운동 전개/“여건히 살아있는 고통의 역사”-

[경상뉴스=박영환 대기자]경남 거제지역에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이 추진되고, 건립기금 마련을 위한 모금운동도 전개된다.

일제강제징용노동자상 거제건립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11일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시자회견을 열고 “일제 강제징용은 아직도 여전히 살아있는 고통의 역사이다”며 “아픔의 역사를 기억하기 위해, 고통과 희생당한 분들의 넋을 조금이나마 위로하고자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거제지역에 건립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일제강점기 시절 거제지역의 경우 장승포항은 국제항으로서 일본 어업자본가의 거점이었고, 일제의 전장으로 조선인들을 강제동원하기 위한 입영준비훈련소가 있었다”며 “일제에 강제동원 돼 장승포항을 통해 중국과 일본, 남태평양 등으로 언제 돌아올 수 있을지 모를 먼 바닷길을 떠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이야기는 바로 우리와 거제지역의 역사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들의 사죄와 배상도 요구했다.

추진위는 “일본은 우리 민족을 36년 동안 불법적으로 강제 지배하며 말과 글을 쓰지 못하게 했고, 자원을 약탈해갔고, 노동력을 착취했다”며 “제국주의 침략의 도구가 돼 전장으로, 탄광으로, 노역장으로 수백만 명이 끌려갔다”고 말했다.

이어 “식민지배에 대해 지금껏 제대로 된 반성과 사죄를 하지 않고, 박정희 정권 시절 굴욕적으로 맺은 한일협정을 내세워 자기 책임을 다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면서 “식민지배로 인해 고통 받았던 우리 민중들의 의사와 요구에 관계없이 가해자가 종료선언을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11일 오전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일제강제징용노동자상 거제건립추진위원회 발족 및 범시민 모금운동 선포 기자회견 모습. 사진=민주노총 거제지역지부.

추진위는 “현 정부는 최근 제3자 변제 방식의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을 발표하면서, 통한의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국민들의 노력을 외면하고, 정부가 먼저 나서 일본의 요구대로 맞춰주는 정책을 강행하고 있다”면서 “진정한 새로운 미래는 과거사에 대한 올바른 사죄와 배상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과거사의 올바른 청산과 역사정의가 없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는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다.

추진위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처럼 오욕과 고통, 분노의 역사를 기억하고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반드시 우리 세대에 식민지배 역사적 범죄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거제지역 노동자와 시민사회가 힘을 모아 시작하겠다”며 “시민들도 역사정의를 바로 세우는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 추진에 많은 관심을 갖고, 건립기금 모금운동에 동참해주실 것을 호소드린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