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오름세에 8·9월 물가 상승률 3% 돌파 전망, 27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이날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8월과 9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 넘게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8,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 9월 3%대를 기록한 뒤 10월부터는 2%대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3.8.27
[경상뉴스=민태식 기자]8월 소비자물가가 폭염·폭우 등 영향으로 4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석유류 물가도 작년 높은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보다 상승 폭을 키우는 원인이 됐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3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를 기록한 뒤로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물가상승률은 지난 2월부터 둔화하다가 7월에 2.3%로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석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서게 됐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은 1년 전보다 5.4% 올라 전체 물가를 0.26%포인트(p) 끌어올렸다.
석유류는 11.0% 하락했다. 7월까지 계속된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25.9%)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9% 상승했다. 올해 3월(4.4%) 이후 최대 폭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각각 3.9%, 3.3%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