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사건/사고헌재 파면 선고 지연에, 민주노총 27일 총파업 선언 『시민과 함께 거리로』

헌재 파면 선고 지연에, 민주노총 27일 총파업 선언 『시민과 함께 거리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20일 오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윤석열 즉각 파면! 민주노총 총파업·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3.20. ⓒ뉴시스
-범국민 항쟁 위한 양경수 위원장의 호소 “시민 여러분, 함께 일상을 멈추고 싸웁시다”-

[경상뉴스=민태식 선임기자]헌법재판소(헌재)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기약 없이 지연되는 가운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총파업 투쟁을 전격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지난해 비상계엄 직후에도 ‘윤석열 퇴진’을 내걸며 총파업 투쟁에 나선 바 있는데, 이번 총파업은 조합원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함께하는 ‘범국민 항쟁’으로 이어가겠다는 각오다.

민주노총은 20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앙집행위원회(중집)에서 이 같은 투쟁 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3월 26일까지 헌재가 파면 선고 일정을 확정하지 않는다면, 민주노총은 3월 27일 총파업을 벌일 것을 선언한다”며 “민주노총 총파업은 120만 민주노총 조합원만이 아니라 내란수괴의 즉각적인 파면과 민주 회복을 바라는 각계각층 시민이 함께하는 투쟁이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은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공동 의장단으로서 이날로 13일 차 단식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양 위원장은 “헌재는 윤석열의 계엄과 내란이 헌법에 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좌고우면할 이유가 없다”며 “애초 많은 법률가들이 노무현, 박근혜 탄핵보다 윤석열 탄핵 사건은 매우 간명하고 명확한 사건이라 얘기해 왔고, 헌재 스스로도 가장 시급하게 윤의 탄핵 사건을 처리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역대 최장기간의 대통령 탄핵 사건을 헌재는 여전히 답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 위원장은 “이에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 혼란이 지속된다면 우리 사회는 돌이킬 수 없이 붕괴될 것”이라며 “우리는 윤석열의 국회 탄핵과 윤석열의 체포, 구속을 위해 거리로 나섰고, 많은 국민이 응원해 줬다. 지금 그 환호와 응원에 화답할 때”라고 강조했다.

양 위원장은 시민들에게도 27일 하루 일상을 멈추고 광장에 함께 나와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지금은 시민들이 나서야 할 때다. 더 이상 불안해하지 말고, 더 이상 마음 졸이지 말고, 우리 함께 일손을 놓고 거리로 나서자”라며 “상인들은 문을 닫고, 노점은 철시하고, 농민들은 출하를 중단하고 함께 거리로 나서자. 학생들은 수업을 중단하고 동맹 휴업에 나서자. 아니 교수들이 앞장서 휴강하고 학생들과 함께 학교 문을 박차로 거리로, 광장으로 나서자”고 독려했다.

양 위원장은 “그렇게 다시 한번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자”라며 “민주노총이 다시 한번 앞장서겠다. 우리를 가로막는 게 바위라면 부수고 돌파하겠다. 태산이 가로막아도 터널을 뚫고 극복하겠다는 결심으로 나서겠다. 조합원 동지 여러분, 시민 여러분 함께 싸우자”라고 간절히 말했다.

민주노총 산하 각 산별노조들은 오늘내일 사이 구체적인 파업 방침을 확정할 예정이다. 일찌감치 총파업 투쟁을 결의한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은 오는 27일 전체 조합원이 주·야 각 2시간 이상 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양 위원장은 “27일까지 선고 일정이 확정되지 않는다면, 그다음 주에도 파업 일정을 확정하고, 시민들에게도 모두 멈춤의 날을 함께 할 것을 제안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매주 목요일로 예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