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1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을 방문해 고개를 숙이고 있다. 2025.06.03. ⓒ뉴시스
-우원식 의장, 윤리특위 가동에 의지 밝혀-
[경상뉴스=김관수 기자]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의 국회의원직 제명을 요구하는 국민청원 서명이 55만명을 넘어 60만명을 바라고 있다.
15일 오전 7시 50분 현재 국회 국민동의청원에 따르면 ‘이준석 의원의 의원직 제명에 관한 청원’은 56만 8130명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4일 게재된 이 청원은 1주일도 채 되지 않아 50만명을 넘긴 데 이어 열흘째인 13일 55만명을 넘었다. 이후에도 꾸준히 청원 동의자가 늘고 있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한 달 동안 5만명 이상의 동의를 받은 청원은 자동으로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된다. 이 청원의 경우 아직 심사를 맡을 소관위원회가 확정되지 않았다. 또한 실제 국회의원을 제명하기 위해서는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회의원의 징계안을 다루는 윤리특위가 가동돼야 하지만, 지난해 총선으로 구성된 22대 국회에서 아직 구성조차 되지 않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11일 국회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국회의원들이 잘못하면 징계도 하고, 판단도 해야 될 텐데 윤리특위를 못 만들었다. 의장으로서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준석 의원을 포함해 의원 12명에 대한 제명 청원이 들어와 있고, 여러 가지 심의할 건들이 있다”면서 “이번에 (여야) 원내대표가 새로 선출될 텐데 우선적인 과제로 이 문제를 다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물론 현실적으로 이 의원을 제명하기는 정치적으로 가능성이 작다. 그럼에도 요건은 충족한 징계 건에 대해 절차를 밟는 것은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진다.
이 의원은 지난달 27일 열린 대선 후보자 초청 3차 TV 토론회에서 성폭력성 온라인 게시글을 활용한 질문을 해 논란이 됐다.
해당 청원의 작성자는 청원 취지에서 “국회의원은 모든 주권자 시민의 대표이자 입법기구다. 곧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없애기 위한 입법 활동과 주권자의 존엄한 삶을 위한 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 의원은 토론회 전에도 여성과 소수자를 끊임없이 ‘시민’과 ‘비시민’의 이분법적 구도 안에서 왜곡하는 등의 행태를 보이며 차별·선동 정치에 앞장서왔다”고 적었다.
또한 “이 의원이 행했던 차별·선동 행위와, 대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발화한 부적절하고 폭력적인 언어, 그리고 그 이후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무책임한 태도는 주권자 시민의 신뢰를 크게 저해하고 국회의원에 대한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