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전 제주시수협위판장에 어선에서 하역한 갈치가 경매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2023.07.12.
-소비자 불안 증폭시킬까 ‘쉬쉬’ 분위기/해수부 장관, 제주 수산업계 현장 점검/제주, 방사능 검사 지점·대상 대폭 확대 –
[경상뉴스=박영환 대기자] “쉿, 다 아는 얘기 그만합시다” 12일 오전 제주시수협위판장 부근에서 갈치를 파는 상인 A씨는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관련 질문을 하는 기자에게 일단 손사래부터 쳤다. 행여나 곁에 있는 손님들이 들을까 걱정하는 모습이었다.
그는 “아직 버리지도 않은 오염수 이야기로 우리 같은 사람만 손해”라면서 “여기서 방사능 얘기는 하지도 말라”고 주의를 줬다.
이른 아침부터 생선 구입에 나선 소비자도 같은 의견이었다. 시민 B(47·여)씨는 “방사능 오염수가 아직 방류된 것은 아니지 않냐”며 “방류되더라도 당분간은 생선 구입을 줄이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일단 방류가 시작되면 불안해지기는 마찬가지 심정일 것”이라며 “가능한 (방사능 오염수)영향이 없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답했다.
이르면 다음달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산물판매 업자들과 소비자들의 근심도 깊어지고 있다.
우리 정부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결론 이후 도쿄전력 오염수 처리계획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의 배출기준과 목표치에 부합한다며 사실상 일본 정부의 손을 들어줬다.
이런 가운데 불안을 잠재우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새벽 제주시수협위판장을 찾아 제주산 수산물 위판현황을 살폈다. 전날 제주에 도착한 조 장관은 어선에서 조업 후 위판되는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를 위한 시료채취 과정과 방사능 검사 결과를 살폈다.
그는 수산물 안전대책 간담회에도 참석해 어업인단체 등을 대상으로 우리 수산물 안전관리 대책을 설명하고 참석자들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또 구좌읍 행원리에 위치한 행원육상양식단지의 한 양식장도 방문해 양식장 수조에서 출하를 앞두고 있는 넙치 중 일부를 방사능 검사용 시료로 채취하는 과정을 참관할 계획이다.
조 장관은 “국민들이 근거 없는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더욱 철저히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모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며 “수산물 안전에 대한 소통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피력했다.
제주도 역시 전국 최초로 ‘수산물 방사능 안전마을’ 시범사업을 시행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도는 도내 전 어촌계 103개소와 357개 양식장이 있는 103개 마을 단위로 안전마을 신청·접수를 받았다.
방사능 검사는 마을 내 어촌계와 마을에 속한 양식장 20%에 대해 샘플링 시료를 채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효율적인 검사를 위해 수산물품질관리원과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이 지역을 나눠 검사하게 된다.
방사능 검사 결과 적합 판정을 받은 어촌계와 양식장에는 정부 인증 방사능 안전 필증을 각 검사기관에서 교부할 계획이다. 정부는 제주와 경남, 전남 지역의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시범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제주도 차원에서는 방사능 검사 지점을 10곳에서 14곳으로 늘리고, 검사 대상 수산물을 6종에서 전품목으로 확대해 검사 결과를 일상적으로 공개하겠다”며 수산물 안전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