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가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브리핑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상뉴스=민태식 기자]동해 심해 가스전을 둘러싼 논란에 답하기 위한 미 액트지오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 기자회견이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시작됐다. 이날 10시부터 시작된 기자회견에는 아브레우 고문과 함께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 곽원준 한국석유공사 수석 등이 참석했다.
아브레우 고문은 이날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해 요약해서 말씀드리겠다”며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이번 프로젝트는 이미 시추공이 3개가 있고, 해당 지역의 탄성적 품질이 좋다는 게 장점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기존 3개 유정 이름은 주작, 홍게, 방어였다”며 “기존 3개 유정을 연구한 결과 실패 원인을 찾아냈고, 이를 통해 유망구조 도출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아브레우 고문은 “7개 유망 구조 내에 상당한 매장량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며 “이를 가능성에 따라 순서를 매기고, 상위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남은 단계는 시추로 확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브레우 고문은 “20%라는 확률이 높은 것이냐”는 질문에 “맞다. 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치”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25년 동안 발견된 가장 큰 광구인 가이아나 리자 광구의 성공 가능성은 16%였는데 확인된 매장량이 40억배럴에 이른다”며 “리자는 이번에 확인한 광구와 비슷한 구조”라고 말했다.
“가이아나 등 과거 사례와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는 “가이아나와 비슷한 유형의 트랩이 발견됐고, 매장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그는 “성공확률 20%는 실패확률 80%라는 뜻”이라며 “5개 유망구조 중 한 곳에서는 석유를 찾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단계 과정이 끝나면 추가로 유망광구가 더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유망광구를 하나만 찾았다면 시추를 시도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액트지오의 주소가 자택이 맞느냐는 질문에는 “맞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석유업체들이 인력감축에 나서면서 외부에 훌륭한 인재들이 많아졌다”며 “우리 팀도 뉴질랜드, 브라질, 멕시코, 스위스에 흩어져 있으며, 휴스턴에는 소수만 있다”고 했다.
한편, 왜 액트지오에 평가를 맡겼느냐는 질문에 석유공사 측은 “4개 업체를 대상으로 입찰을 진행했고, 기술과 가격을 평가해 선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