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07특수임무단장 김현태 대령이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며 눈시울을 붉히고 있다. 제707특수임무단은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 진입을 위해 투입됐다. 연합뉴스
[경상뉴스=민태식 선임기자]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특수전사령부 제707특수임무단의 지휘관인 김현태 단장이 9일 “707 부대원들은 모두 피해자다. 김용현 전 국방장관에게 이용당한 가장 안타까운 피해자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 여러분께 무거운 마음으로 깊이 사죄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단장은 “부대원들은 죄가 없다. 죄가 있다면 무능한 지휘관을 따른 죄뿐”이라고 강조했다.
김 단장은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제가 아는 모든 진실을 말하고 싶었지만 기회가 없는 듯해 이 자리에 섰다”면서 “저는 무능하고 무책임한 지휘관이다. 부대원들을 사지로 몰았다. 전투에서 이런 무능한 명령을 내렸다면 전원 사망했을 것이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지금 부대원들은 많이 아파하고 괴로워하고 있다”며 “부대원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아빠의 눈치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진입한 707특임단 단장으로서 계엄군의 국회 진입을 지휘했다. 앞서 국방부 검찰단은 김 단장과 함께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과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특전사령관, 그리고 3명의 공수여단장과 다른 대령급 지휘관 2명 등 10명에 대해 법무부에 긴급 출국금지를 신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