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전경ⓒ News1
-[경찰 조직재편] 범죄예방대응국 신설…시·도청에 ‘생활안전부’/스토킹·아동학대 등 여성청소년 대응 일원화…학교폭력 대응부서도 –
[경상뉴스=민태식 기자]신림동·서현역 흉기난동 살인사건과 같은 강력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경찰관서에 범죄예방대응 부서를 신설한다. 범죄예방 정책을 수립하는 부서와 범죄에 대응하는 112상황실을 통합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복안이다.
경찰청은 18일 오후 △전 경찰관서 범죄예방대응과 신설 △경찰관서 관리기능 인력 감축 및 치안현장 재배치 △형사기동대·기동순찰대 운영 등 현장 치안역량 강화를 주요 골자로 하는 ‘조직재편안’을 발표했다.
우선 경찰은 경찰청을 비롯해 18개 시·도청 및 259개 경찰서에 ‘범죄예방대응’ 부서를 신설, 범죄예방 및 대응을 총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경찰청에는 범죄예방과 지역경찰, 112상황 기능을 통합해 ‘범죄예방대응국’을 신설한다. 기존 생활안전국 소속의 범죄예방정책과와 차장 직속이었던 치안상황관리관이 통합된 형태다.
신설된 범죄예방대응국은 범죄예방과 112신고 대응, 지구대·파출소를 총괄하는 경찰의 핵심조직이 된다. 범죄예방대응국 산하에는 5만명에 이르는 지역경찰의 역량강화와 지원을 전담하는 2개과도 신설될 예정이다.
시·도청은 범죄예방대응과와 112치안종합상황실을 ‘생활안전부’ 소속으로 통합·편제한다. 기존 자치경찰부를 생활안전부로 재편하는 방식이다. 서울경찰청의 경우 범죄예방대응부라는 이름으로 재편한다.
일선 경찰서에도 기존 생활안전과와 112치안종합상황실을 ‘범죄예방대응과’로 통합·재편한다.
경찰은 이번 재편안에 대해 범죄예방 정책수립 부서(생활안전국)와 범죄예방·대응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경찰·112상황대응 부서(치안상황관리관)가 분리돼 유기적인 연계가 부족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무엇보다 이번 개편으로 범죄예방과 대응 관련 조직이 결합해 보다 효율적으로 경찰력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스토킹·가정폭력, 아동학대, 신상정보등록자 관리, 피해자보호 등 범죄재발 우려가 높은 고위험군 가·피해자에 대한 특별예방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업무를 여성청소년 부서로 통합한다.
뿐만 아니라 국민적 관심과 우려가 높아진 학교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경찰청 여성안전학교폭력대책관, 서울·경기남부청 청소년보호과를 편성해 대응 역량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번 개편의 핵심은 경찰조직을 범죄예방과 대응이라는 본질적 치안업무 중심으로 재편하고 현장의 대응역량을 극대화하는데 있다”며 “조직개편으로 경찰조직의 범죄예방·대응 기능이 강화되면서 국민 일상의 평온을 지켜가는데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