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수도병원 찾은 김선호 차관
김선호 국방부 차관이 19일 경기 성남시 국군수도병원 소생실을 방문해 의료 장비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 = 국방부]
[경상뉴스=민태식 기자]전공의 집단사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의료대란을 막기 위해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운영하고 필요할 경우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집단행동이 본격화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비상진료체계 운영을 지시했다.
우선 전국 409개 응급의료기관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하고, 응급·중증 수술의 경우 최우선적으로 대응한다.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도 운영한다. 집단행동으로 인해 중증·응급 치료가 거부되는 식의 피해를 본 경우 국번 없이 ‘129번’으로 전화하면 피해사례를 상담해주고 법률구조공단과 연계해 소송을 지원한다.
국방부도 군 의료체계를 민간에 개방해 응급의료 지원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민간 의료계의 파업 강행시 범부처 차원의 대책에 근거해 국군수도병원 등 12개 군병원 응급실을 개방하고, 응급환자 진료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황을 고려해 군 장병 의료지원 태세의 제한이 없는 범위 내에서 민간 외래환자 진료와 군의관 파견 방안 등을 앞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응급실을 운영하는 군병원은 국군의무사령부 산하 국군강릉병원, 국군춘천병원, 국군홍천병원, 국군고양병원, 국군양주병원, 국군포천병원, 국군서울지구병원, 국군수도병원, 국군대전병원과 해군 산하인 경남 창원시 해군해양의료원·해군포항병원, 공군 산하인 충북 청주시 공군항공우주의료원 등 모두 12곳이다. 국군대구병원, 국군함평병원, 국군구리병원 등 국군의무사령부 관할 병원 3곳은 현재 응급실을 운영하지 않고 있어 민간 개방 대상 군병원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의과대학을 두고 있는 40개 대학 총장과 긴급 영상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 부총리는 “우리 학생들이 예비 의료인으로서, 학습에 전념해야 할 중요한 시기를 잘 보낼 수 있도록 총장님들께서 법과 원칙에 따른 학사 관리에 힘써주시기를 간곡히 부탁 드린다”며 “동맹 휴학으로 학생들과 국민들이 피해 받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