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내년부터 헬기를 투입한 밤나무 항공 방제를 전면 중단하고 ‘드론’을 투입해 방제하는 방식으로 전환키로 했다. 산림청
-항공 방제 면적 전체 50% 수준인 1만 6000㏊재배지가 산림, 폭염 속 소형 헬기 투입 고난도-
[경상뉴스=조정환 기자]산림청이 내년부터 헬기를 투입한 밤나무 항공 방제를 전면 중단한다. 대신 전문기관과 계약 방식으로 ‘드론’ 방제를 실시키로 했다.
항공 방제는 낮은 고도에서 진행돼 사고 위험이 산재한데다 에어컨이 없는 소형 헬기가 투입돼 올해와 같은 폭염 상황에서 조종사의 피로도가 가중될 수밖에 없다. 지난 7일 경남 하동에서는 밤나무 항공 방제에 나섰던 AS 350 소형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부상을 당했다.
8일 산림청에 따르면 항공 방제는 1981년부터 시작돼 연간 방제 면적이 1만 6000㏊로, 국내 밤 재배 면적(3만 5000㏊)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밤은 방제하지 않으면 생산량이 59% 수준으로 감소하는 데 대부분 산림에서 재배되면서 항공 방제가 불가피했다.
산림청은 산불 감시에 이어 지난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드론을 투입하면서 산림 재난 분야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기술 개발과 기체 규모가 커진 데다 장애물 회피·지형 추적 비행 등이 고도화되고 약제 살포 고도가 낮아 정밀방제를 통해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종수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항공 방제 헬기 추락사고는 2007년 이후 처음이나 방제의 실효성과 대체 가능성 등을 고려해 드론 방제로 전환키로 했다”라며 “헬기는 대규모 방제가 가능하나 비용이 많이 들고 위험에 상시 노출돼 있어 그동안 방제 면적을 축소해오고 있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