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헤드라인경남 밀양시, 「맞춤형 귀농귀촌 정책 지원으로 인구유입」에 박차

경남 밀양시, 「맞춤형 귀농귀촌 정책 지원으로 인구유입」에 박차

▲경남 밀양시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상담부터 지원정책까지 귀농귀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 귀농귀촌인 유치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사업 지원 –

[경상뉴스=이계원 기자]경남 밀양시(시장 박일호)는 지난해보다 한층 높은 귀농귀촌 단계별 맞춤형 지원정책을 펼쳐 농촌 인구유입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시는 ‘농업이 밝아지는 귀농, 농촌이 젊어지는 귀촌’이라는 비전을 토대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사전준비 및 주거 분야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정책 추진에 힘쓸 계획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5,086세대 6,315명(귀농 424세대 536명, 귀촌 4,662세대 5,779명)이 제2의 인생을 설계하며 밀양으로 귀농귀촌했다.

▲지난해 4월 산외면 기회마을에서 귀농·귀촌인과 주민들이 밀양시에서 추진한 ‘마을단위 찾아가는 융화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도내 귀농 1번지인 밀양시는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인 ‘귀농귀촌 유치지원사업’에 지금까지 5년 연속 선정돼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올해도 경남 도내에서 해당 사업을 시행하는 13개 시군 중 가장 많은 국도비를 확보했다. 이 같은 성과는 시가 귀농귀촌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추진한 각종 지원정책이 뒷받침됐다.

시는 지역 농촌으로 정착을 결심한 예비 귀농귀촌인 및 이미 밀양시에 발을 들인 귀농귀촌인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귀농귀촌 전 사전준비를 위한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한 전문적인 One-Stop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밀착형 농촌 체험 프로그램인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운영할 예정이다. ‘농촌에서 살아보기’는 1~3개월간 하나의 마을에 거주하면서 지역민과 교류를 확대하며 농촌에서 살 수 있을지, 어떤 준비가 필요할지 확인하는 기회를 부여해 귀농귀촌인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한다.

▲지난해 4월 밀양시는 은퇴자공동체마을 입주자를 대상으로 ‘예비귀농귀촌인 시티투어’를 실시했다.

또 귀농초기 주요 애로사항인 임시 주거시설 지원책으로 ‘귀농인의 집’을 조성해 귀농귀촌인의 농촌 이주를 도울 예정이다.

귀농인의 영농활동에 대해서도 밀착 지원한다. 귀농인 멘토의 현장코칭으로 현실적 영농기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멘토링 지원, 선도농가의 현장경험 및 영농자문을 받을 수 있는 귀농현장닥터 운영, 청년 귀농인의 생활 안정 및 영농 기반 마련을 지원하는 청년후계농 영농정착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귀농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이주 초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귀농인들을 위해 농지임차료 및 귀농인 안정정착 지원사업을 진행하며, 귀농귀촌 세대의 정착에 도움을 주는 이사비 지원과 지역주민 초청행사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귀농인과 청년농업인의 조기정착 및 농가소득 안정에 기여하는 초기정착 지원사업 및 귀농귀촌인에게 지역 농·특산물 및 가이드북으로 구성된 꾸러미를 지원해 농촌생활에 활력을 더하는 웰컴박스 지원사업도 신규로 신설해 추진한다.

▲지난해 4월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2022년 귀농귀촌 청년창업 박람회’에서 밀양의 청년 농업인 4-H연합 회원들이 참가해 우수 홍보관 수상을 했다.

밀양시는 단기적 지원을 탈피해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해 청장년층 인구 유입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힘쓸 예정이다.

박일호 시장은 “앞으로도 귀농·귀촌인이 원하는 맞춤형 지원을 통해 밀양시 농촌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귀농·귀촌인의 다양한 요청사항을 반영한 시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