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정치/사회/경제정치李 52% vs 金 42%, 李 51% vs 李 40%…양자대결 모두「이재명 우세」

李 52% vs 金 42%, 李 51% vs 李 40%…양자대결 모두「이재명 우세」[중앙일보 여론조사]

▲왼쪽부터 6·3 대선에 출마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연합뉴스

[경상뉴스=민태식 선임기자]6·3 대선 여론조사 공표 금지(대선 6일 전, 5월 28일부터)를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다자·양자 대결에서 모두 독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24~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한 결과다.

이재명 후보는 다자 대결에서 49%를 얻었다. 이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35%,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11%,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1%였다. 이달 초(5월 3~4일) 중앙일보·한국갤럽 조사 당시 3자 대결과 비교하면 이재명 후보(49%)는 수치에 변화가 없는 반면 김문수 후보(33%)와 이준석 후보(9%)는 각각 2%포인트씩 소폭 상승했다.

보수층은 다소 결집하는 추세였지만, 1·2위 후보의 격차는 크게 줄지 않았다. 지난 조사에 비해 이번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차이는 2%포인트(16%포인트→14%포인트) 좁혀진 데 그쳤다.

지역별로 봤을 때도 이재명 후보의 우세는 두드러졌다. 이 후보는 최대 승부처인 서울(46%)과 인천·경기(52%) 등 수도권에서 50% 안팎의 지지율을 얻었고, 전통적인 스윙보터 지역인 충청권(49%)에서도 과반에 육박했다. 호남에선 79%를 기록했다. 반면 김문수 후보가 앞선 지역은 대구·경북(TK, 49%)과 부산·울산·경남(PK, 47%) 등 영남뿐이었다.

대선 막판 최대 변수로 꼽히는 보수 진영 후보 단일화가 성사되는 걸 전제로 가상 양자 대결을 할 경우 이재명 후보(52%)와 김문수 후보(42%)는 10%포인트 차였고, 이재명 후보(51%)와 이준석 후보(40%)는 11%포인트 차였다. 보수 후보로 누가 나와도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얻는 동시에 격차가 두 자릿수로 벌어진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재명 후보의 지지세가 굳건한 건 핵심 승부처인 중원 싸움에서 계속해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서다. 중도층 지지율에서 이재명 후보는 다자 대결에서 57%를 기록한 데 비해 김문수 후보 26%, 이준석 후보 12%였다. 양자 대결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김문수 후보(34%)와 맞붙었을 때는 61%, 이준석 후보(35%)와 승부 때는 58%를 각각 얻었다.

양자 대결 때 두드러진 점은 이준석 후보의 약진이었다. 지난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52%)-김문수 후보(39%), 이재명 후보(51%)-이준석 후보(29%)의 격차는 각각 13%포인트, 21%포인트였다. 이번 조사에서 김문수 후보는 간극을 3%포인트(13%포인트→10%포인트) 줄인 반면 이준석 후보는 10%포인트(21%포인트→11%포인트)를 따라붙었다.

연령별로 봤을 때 이준석 후보가 20·30세대에서 경쟁력을 보였다. ‘이재명-이준석’ 양자 대결 때 20대의 이준석 후보(52%)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39%)에 비해 높았다. 30대는 이준석 후보(43%)와 이재명 후보(51%)의 차이가 8%포인트로 크지 않았다. 반면 ‘이재명-김문수’ 양자 대결 때 20대의 김문수 후보(43%)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42%)와 엇비슷했지만, 30대는 김문수 후보(37%)가 이재명 후보(57%)보다 20%포인트나 뒤졌다.

전문가들은 단일화 외에도 영남에서의 막판 쏠림 현상을 주요 변수로 보고 있다. 양자 대결 기준으로 지난 조사와 비교해 PK에서 이재명 후보는 45%에서 40%로 다소 하락한 반면에 김문수 후보는 46%에서 53%로 소폭 상승했다. 여론조사업체 에스티아이 이준호 대표는 “지난해 4월 총선 때 PK에서 국민의힘 지지층이 마지막에 결집하며 PK에서의 결과가 뒤바뀌었다”며 “각 당이 마지막까지 PK 지역에 공을 들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은 “호남에서 이재명 후보의 결집은 거의 완벽히 이뤄진 상태인 반면 TK·PK에서 김문수 후보 지지율은 아직 정체된 상태”라고 말했다.

■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5월 24일~25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24.4%(4119명 중 1004명)이며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