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정치/사회/경제정치李대통령, 김민석 논란에『다 의혹에 불과하다더라』

李대통령, 김민석 논란에『다 의혹에 불과하다더라』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캐나다로 비행 중인 공군 1호기 안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뉴시스
-캐나다행 공군 1호기 안에서 기자회견/총리 후보자 논란에 “제가 직접 물었는데 다 설명할수 있는 의혹이라더라” “청문회서 설명할 것”/지지율 질문에 “난 언제나 시작보다 마칠 때 높았다”/“특검들과 본적 없어…개인적 인연보다 결과가 중요”/추경 지원책은 “소득지원, 소비진작 다 살펴볼 것”-

[경상뉴스=민태식 선임기자]이재명 대통령은 16일 캐나다로 향하는 전용기 안 기자회견에서, 7국(G7) 정상회의 외에 국내 현안 관련 질문에도 답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연이어 나온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채무와 재산 관련 의혹에 “제가 (총리 후보자) 본인에게도 어떻게 된 건지 물어봤는데, 본인이 충분히 다 설명할 수 있는 그냥 의혹에 불과하다고 말하고 계시다”며 “청문회에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의 부동산 관련 논란에 대해서도 “이 위원장은 공직자가 아니라 일종의 자원봉사자”라며 “공직의 성격이 없지 않으니 검증은 불가피하지만, 그 역시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고 하니까 본인 설명을 또 들어보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출국 전 이른바 ‘3대 특검법’의 세 특검을 직접 만났다는 관련 보도에 대해선 “저는 세 분 특검 아직 얼굴도 한 번 본 적이 없다”고 했다. 다만 ‘내란 특검법’의 특검을 맡은 조은석 전 서울고검장은 과거 성남시장 때 한 번 본 적이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특별한 인연이 없는 분들”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인사와 관련해선 특별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주변 분들 의견을 많이 들으려고 하고, 신속 보다는 중립적이고 역량 있는 사람으로, 그 직위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하려고 최선을 다한다”며 “(특검에 이어) 특검보 추천도 들어오는 모양인데, 그 역시 주변 의견을 최대한 많이 들어서 특검 취지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게 지지율하고 관계가 높다”며 “결국 마지막 결과로 국민이 평가하기 때문에 결과가 좋으려면 좋은 인재를 그 직위에 맞는 훌륭한 인재로 선정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내가 개인적으로 그 사람을 아느냐, 어떤 관계에 있느냐가 무슨 의미가 있겠냐”며 “잠시 기분 좋을진 몰라도 (그것만으로는) 마지막 지지율에 별로 도움이 안 된다”고 했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 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국제공항에 도착해 김혜경 여사와 공군 1호기에서 내리며 인사를 하고 있다./뉴시스

이 대통령은 지지율 관련 질문도 받았다. 지난 16일 한 여론조사 업체가 진행한 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58.6%였다.

이 대통령은 임기 말 지지율이 어느 정도면 ‘성공한 대통령’으로 만족할 것 같으냐는 물음에 “어려운 질문”이라며 “그런데 저는 언제나 공직을 시작할 때보다 마칠 때 지지율이 높았던 것 같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경기지사(로 임기를) 출발할 때도 전국 꼴찌였는데 마칠 때는 가장 높았다”며 “성남시장 때도 아슬아슬하게 이긴 정도였는데, 마칠 때는 시정 만족도가 80% 전후였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대통령의 외양이나 이미지가 아니라 우리 국민 삶이 실질적으로 개선되고, 대한민국이 한 단계 더 버전 업 됐다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임기 막바지의 지지율에 대해 “목표치를 정하는 건 무의미하고, 출발 때보다는 마칠 때 더 높아졌으면 하는 기대를 갖고 있다”며 “그렇게 되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추경 편성과 지원금 지급 방식에 대한 질문의 답변에 오랜 시간을 할애했다. 이 대통령은 “추경 관련해 여러 의견이 있다”며 “다만 이게 소득 지원 정책이냐, 소비 진작 정책이냐, 그 성격에 따라서 (달라진다)”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소득 지원 정책이라면) 세금 더 많이 낸 사람에게 혜택을 주지 않는 건 바람직하지 않은, 역차별 측면이 있다”며 “소득지원 정책이 아닌 소비 진작 정책 측면만 있다면 저는 동등하게 하는 게 당연히 맞다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또 한편으로 보면 지금 서민 살림이 너무 어렵기 때문에 소득 지원 정책의 측면이 없는 건 아니어서 소득 정책 측면을 강조하면 당연히 어려운 사람에게 더 많이 지원해야 된다”며 “또 한 가지는, 소비 진작 정책이라 하더라도 저소득층의 소비 성향이 높기 때문에 저소득층 지원이 오히려 소비 진작에 더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고소득층에 지원하면 기존 소비를 대체할 가능성이 많다”며 “저소득층은 기존 소비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소비가 될 가능성 높다. 이 두 가지 측면 모두 고려해야 되는데, 그래서 일단 두 가지를 섞어하는 게 어떻겠나,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재정 당국의 안을 보고, 당정 협의도 해야 하니까 좀 살펴보도록 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