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헤드라인『이렇게 막쓰다 내성 생기면 치명적』…한국, 항생제 사용량「OECD 2위」

『이렇게 막쓰다 내성 생기면 치명적』…한국, 항생제 사용량「OECD 2위」

▲[사진 = 픽사베이]
-2023년 사용량, OECD 평균 뛰어 넘어/내성균 감염 땐 사망까지 초래 ‘경고등’-

[경상뉴스=조정환 기자]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상위권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무분별한 항생제 처방이 내성균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질병관리청과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당 하루 31.8 DID(Defined Daily Dose/1000 inhabitants/day)로 집계됐다. 이는 자료가 공개된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2022년에는 25.7 DID로 OECD 평균(18.9 DID)의 1.36배에 달해 4위를 기록했지만, 1년 만에 사용량이 더 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항생제 내성을 인류 생명을 위협하는 ‘10대 보건 위기’로 지목한 바 있다. 내성균에 감염될 경우 치료가 어렵고, 입원 기간 증가와 치료비 상승, 사망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어린이는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정부 ‘항생제 적정 사용 시범사업’ 효과 뚜렷
이에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11월부터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SP)’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ASP는 병원 내 전문 인력을 통해 항생제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최적의 약품·용량·기간을 준수해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제도다. 불필요한 처방을 줄여 내성균 확산을 막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 목표다.

시범사업의 성과는 이미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한양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참여 병원은 100%가 ‘제한항생제 프로그램’을 운영한 반면, 미참여 병원은 56.6%에 그쳤다. 또 미생물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로 변경하도록 중재하는 비율도 참여 병원(59.2%)이 미참여 병원(10% 미만)을 크게 앞섰다.

다만 전문 인력 부족은 여전히 걸림돌이다.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의 절반 이상(53.6%)이 인력난을 이유로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2차년도 시범사업 참여 기관을 추가로 모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