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문제의 핵심은 尹” “용산이 바뀌어야 총선 승리”-
[경상뉴스=민태식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네덜란드 국빈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15일, <조중동>이 일제히 ‘문제의 핵심인 윤 대통령이 바뀌어야 한다’며 윤 대통령을 압박하고 나섰다. 특히 ‘김건희 리스크’를 총선 최대변수로 거론, 윤 대통령의 결단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조선일보>는 이날 사설을 통해 “강서구청장 선거 패배 후 대통령부터 변하겠다고 했지만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는 아직 없다”며 “대통령 부인의 명품 가방 수수 사건만 불거졌을 뿐”이라고 비꼬았다.
사설은 “국민의힘 의원들은 후임 비대위원장이 누가 되느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국민 입장에서는 누가 비대위원장이 되느냐보다 이 모든 일을 결정하고 집행한 대통령으로부터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설명을 듣고 싶다”며 “어떻게 대선에서 승리한 정당이 가장 국민의 지지를 받으면서 일을 할 수 있는 임기 초반을 이렇게 보내면서 세 번이나 비상대책위를 구성해야 하는지 책임자인 대통령은 설명을 할 의무가 있다”고 윤 대통령을 질책했다.
그러면서 “장제원 의원이 불출마하고 김기현 대표가 물러났지만 사람들이 미진하다고 느끼는 것은 문제의 핵심인 대통령의 입장이 빠져 있기 때문”이라며 “다른 사람들은 희생하고 있는데 정작 윤 대통령 본인은 나라와 국민을 위해 어떤 희생을 할 수 있는지 많은 국민이 궁금해하고 있다. 이제 대통령이 직접 답할 차례”라고 거듭 윤 대통령에게 입장 표명을 압박했다.
<중앙일보>는 편집인 출신 오병상 칼럼리스트가 <민심의 바다위 김건희 리스크>라는 칼럼을 썼다.
그는 “윤핵관 장제원 의원의 불출마선언,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사퇴로 드높아진 여론의 눈길이 김건희 여사를 향하고 있다. 총선을 앞둔 김건희 리스크에 보수진영까지 경계심을 감추지 않고 있다”며 명품백 수수 파문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취재윤리상 문제가 있지만, 그렇다고 취재내용(김영란법 위반)이 사라지진 않는다”며 “동영상은 여러모로 악성이다. 대통령의 부인은 지난해 9월 개인사무실로 친북 목사를 불러 ‘(남북문제 관련) 같이 일하자’며 명품백을 받았다. 보수진영이 왈칵할만 하다”고 김 여사를 질타했다.
그는 “김건희 리스크를 계속 뭉개고 갈 수 없는 것은 ‘김건희 특검법’으로 이어지는 야당의 파상 공세 때문이다. 민주당은 28일 국회에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관련 특검법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특검법을 거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문제는 민심이다. 최근 한국갤럽 조사결과 ‘특검법 거부’를 반대하는 여론이 70%다. 이럴 경우 민주당이 내세우는 ‘윤석열의 내로남불’ 프레임이 맞아 떨어진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탈탈 털면서 김건희는 감싸고 돈다’는 주장이 민심을 파고들게 된다”고 경고했다.
이어 “내년 4월 총선에 치명적일 수 있다. 선거의 승패는 프레임에 민감한 스윙보터(중도표)에 달렸기 때문이다”라며 “김건희 리스크가 민심의 바다에 던져졌다”며 윤 대통령에게 결단을 촉구했다.
<동아일보>는 <與내부 “비대위장 누가 되든, 대통령이 변해야”>라는 기사를 메인으로 올렸다.
기사는 “비상대책위원장 후보군에 여러 인사가 오르내리는 가운데 당내에선 ‘비대위원장이 누가 되든 윤석열 대통령이 변하고 수직적 당정 관계를 수평적으로 바꿔야 내년 총선에서 이길 수 있다’는 요구가 분출했다”며 “김기현 대표 체제처럼 ‘윤심’만 바라보는 비대위원장으로는 여당의 혁신도 변화도 불가능하다는 것”이라며 나경원 전 의원, 최재형 의원 등의 주장을 전했다.
특히 5선으로 국민의힘 최다선 의원 중 한 명인 정우택 국회부의장은 “수평적인 당정 관계가 이상적인 모델로, 수평적인 관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 고쳐야 한다”며 “용산이 바뀌어야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강력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