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spot_img
Home헤드라인「계열사 136곳」카카오…정보보호 투자 네이버의 40%

「계열사 136곳」카카오…정보보호 투자 네이버의 40%

◆ IT공룡 카카오 민낯 ◆
– 매출 비슷한 네이버와/`정보보호투자` 비교해보니/네이버 年 350억 쏟아부을때/카카오는 140억 투자 그쳐/위기관리대응 부실 예고된 참사/해외매출 30% 달성 내세우면서/빅테크처럼 투자 청사진 못밝혀 –
[경상뉴스=민태식 기자]사상 최악의 디지털 재난 사태를 야기한 카카오의 ‘안전 불감증’이 최근 투자 지표에서도 속속 확인되고 있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앞세워 네이버와 매출을 나란히 할 만큼 초고속으로 성장했지만 정보보호 투자 등 서비스 플랫폼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각종 지출 항목에서 네이버에 현저히 뒤처지는 투자를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매일경제가 정보보호공시포털을 확인한 결과 지난해 네이버가 정보보호 분야에 350억원을 투자한 데 비해 카카오는 네이버의 40%가량인 140억원만 투자했다. 정보보호 분야는 크게 외부 해킹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사이버보안 영역과 내부에서 재난이 발생하면 이를 복구하는 백업(재해 복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번 카카오 먹통 사태는 백업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한 게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정보보호공시제도 담당자는 “데이터센터 백업 시스템은 정보보호 분야 투자액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계열사를 2018년 72개에서 올해 136개로 늘릴 만큼 외형적 성장에 집중해왔다. 그 결과 카카오(6조1366억원)는 네이버(6조8175억원)와 함께 지난해 ‘매출 6조원대’를 달성했다. 하지만 ‘몸집 불리기’에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가장 기본이 되는 서버 관리, 백업 시스템 도입, 이중화 등엔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사태가 사실상 ‘예고된 참사’였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카카오 측은 정보보호 분야 투자에 인색했다는 비판에 대해 “정보기술(IT) 부문에서 카카오는 인공지능(AI) 추천 시스템 고도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등에 투자를 지속 중”이라며 “카카오는 2021년부터 2029년까지 데이터센터와 관련해 약 4249억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카카오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세계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데이터 관리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카오는 향후 3년간 해외 매출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와 관련해 ‘빅테크의 대명사’인 구글은 지난해 데이터센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95억달러(약 13조6211억원)를 투입하는 계획을 공개했다. 실제 구글은 올해 미국 테네시, 버지니아, 오클라호마에 데이터센터를 신설했고 아이오와, 조지아 등에 있는 기존 데이터센터를 업그레이드했다. 어떠한 재난 상황에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선 삼사중의 데이터센터 다중화가 필수라는 판단에서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구글이 지난 5년간 미국 26개 주에 데이터센터·오피스를 구축하기 위해 370억달러(약 53조469억원)를 투자했으며 일자리를 4만개 이상 만들어냈다”고 강조했다.
지난 7월 19일 유럽을 강타한 기록적인 폭염으로 구글의 영국 데이터센터가 멈춰섰지만 먹통 대란이 없었던 것도 이 같은 ‘삼사중 장치’ 덕분이다. 당시 영국 역사상 최초로 섭씨 40.3도를 기록하는 등 폭염으로 구글 클라우드센터의 냉각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가동이 중단됐다. 구글은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영구적 손상으로 장기적으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즉시 데이터센터를 멈췄다. 이후 자체 ‘재해·재난 대응 매뉴얼’을 가동해 피해를 막았다. 사건 보고서에 따르면 장애 인지부터 완전한 복구를 하는 데까지 18시간23분이 걸렸으며 일부 서비스는 중단됐어도 전면 정지는 없었다.
한편 카카오 이용자들은 10년 전 카카오가 지금과 같은 서비스 먹통 사태를 일으키며 내놓은 약속이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한다. 2012년 4월 카카오가 서버를 위탁운영하는 데이터센터에 전력 장애가 발생하면서 4시간 동안 카카오톡이 먹통 상태에 빠졌다. 당시 카카오는 “카카오팀도 돈 많이 벌어서 대륙별로 초절전 데이터센터를 분산 가동해 안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현재에도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
관련기사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side_ad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