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부터 전 국민의 90%에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1인당 10만 원씩 지급 된다. 사진은 12일 서울 시내의 한 가게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안내문. 연합뉴스
-돈 준다는데 침 뱉는 국민있나? 수시로 받았으면 좋겠다-
[경상뉴스=조정환 기자]정부에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앞둔 가운데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1인당 최대 50만 원 등 자체 민생지원금 지급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정부에 따르면, 오는 22일부터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 1인당 10만 원의 2차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된다. 이와 별개로 일선 지자체가 지역경제 활성화 취지로 민생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에 나섰다.
우선 전남 영광군은 1일부터 신청을 받아 군민 1인당 50만 원씩 민생경제회복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사전신청은 지난 7일로 종료됐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접수를 받고 있는데 오는 10월 17일까지 하면 된다. 군은 지난 설에도 같은 규모의 지원금을 지급한 바 있다.
지급기준일(2024년 12월 27일)부터 신청일까지 계속해서 영광군에 주민등록 주소를 둔 거주자 또는 체류지를 둔 군민이 대상이다.
전북 부안군은 군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이날부터 내달 31일까지 민생안정지원금을 1인당 30만 원씩 지급한다.
지급기준일(2025년 8월 12일)부터 신청일까지 주민등록 주소를 계속해서 부안군에 두고 있는 군민이 대상이며, 소득과 재산에 상관없이 1인당 30만 원씩을 지원한다.
관련 법령상 결혼이민자와 영주 체류 자격을 취득한 외국인도 범위에 포함되며 가구가 아닌 개인 단위로 책정된다.
전남 화순군도 1인당 10만 원 민생안정지원금을 오는 22일부터 지급한다. 전북 고창군은 1인당 20만 원 군민활력지원금을 추석 전 지급하기로 계획했다.
지자체들이 앞다퉈 추석 전 민생지원금 지급에 나선 이유는 정부가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함께 내수 진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다만 현재 민생지원금 지급을 발표한 지자체들의 재정자립도가 낮아 선심성 정책이란 지적도 제기된다.